비즈니스 프로세스

비즈니스 프로세스 강좌는 동명의 책 "비즈니스 프로세스, 정승렬|이정규 공저, 한빛 아카데미"의 내용을 설명하는 교육 모듈입니다. 경영자, 관리자, 비즈니스 컨설턴트, 프로세스 혁신가,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위한내용으로 15개의 장을 대상자에 따라 선택적으로 강의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책의 머리말의 일부를 발췌한 것 입니다. 참고 바랍니다.
<지은이 머리말>
프로세스는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하는 일련의 활동을 의미한다. 따라서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는 조직의 지속 가능한 경쟁우위를 확보하거나 업무 혁신 또는 성공적인 시스템 구축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항상성을 유지하며 끊임없는 혁신을 도모해야 하는 가치사슬 활동인 프로세스에 대해 최신의 정보까지 포괄적·체계적으로 다룬 책이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위의 책은 이러한 아쉬움을 해소하기 위해 두 명의 공동 저자가 1년간 노력한 결과물이다.
우리는 이 책을 준비하면서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하고자 했다. “비즈니스 맥락에서 프로세스의 역할과 기능은 무엇인가?”, “프로세스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개선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이나 기법은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총 15장으로 구성된 책이 만들어졌다. 비록 완전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통합적이고 종합적인 프로세스 관련 전문 서적이라고 감히 소개할 수 있다.
이 책의 독자는 다양하겠지만, 특히 프로세스 관리 전문가나 업무 혁신 컨설턴트는 이 책을 통해 시사점을 얻을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프로세스 분석가나 개발자가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프로세스 에 대한 요구 사항을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면 좋겠다. 한편 프로세스나 시스템을 공부하는 학부생이나 대학원생은 프로세스에 관한 종합적인 프레임워크를 학습할 수 있다. 이 책은 대학교나 대학원 교재의 형식을 띠고 있지만 기업의 최고경영자, 중역은 물론 중간관리자에게도 유용한 내용을 담고 있다.
목차
PART 1 거버넌스 총론
Chapter 1. 거버넌스 담론의 태동 3
1. 카오스에서 탄생한 자기조직화 4
2. 철학의 변천과 관계철학의 대두 7
3. 자기조직화를 향하는 정보기술 10
4. 미시권력의 출현과 네트워크 거버넌스 12
Chapter 2. 거버넌스의 개요 15
1. 체계로서의 거버넌스 15
2. 플랫폼과 프레임워크 17
3. 관계철학과 거버넌스의 정의 19
4. 정치사회적 거버넌스의 전개 21
5. 조직형태와 거버넌스의 유형 25
Chapter 3. 조직과 거버넌스 28
1. 거버넌스와 매니지먼트 28
2. 기능조직과 거버넌스 30
3. 조직 거버넌스 모델 33
4. 조직 거버넌스의 체계 36
PART 2 조직 거버넌스의 3요소
Chapter 4. 비즈니스 거버넌스 45
1. 자가당착에 빠진 비즈니스 법칙 45
2. 전략연계의 2가지 해법 48
3. 생존을 위한 비즈니스 유동성 51
4. 비즈니스 거버넌스 모델 53
Chapter 5. 프로세스 거버넌스 56
1. 프로세스란 무엇인가? 56
2. 프로세스 거버넌스 사이클 58
3. 프로세스 거버넌스 큐브 63
Chapter 6. IT 거버넌스 66
1. IT 거버넌스 개요 66
2. IT 아키텍처와 거버넌스 67
3. 데이터 거버넌스 69
PART 3 프로세스 거버넌스의 이론적 고찰
Chapter 7. 프로세스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81
1. 프로세스 거버넌스 역량 계층 82
1) 전략연계 역량 83
2) 권한강화 역량 85
3) 직능향상 역량 86
4) 자율조직 역량 89
2. 공유정신모형 계층 91
1) 내재화 94
2) 센스메이킹 101
3) 탈내재화 104
3. PG 통제사이클 계층 107
Chapter 8. 프로세스 거버넌스의 목적 109
1. 지속가능성 109
2. 책무성 112
3. 투명성 114
4. 효과성 117
5. 효율성 119
Chapter 9. 프로세스 거버넌스의 범주 121
1. 프로세스 거버넌스 창조 122
2. 프로세스 거버넌스 운영 125
3. 프로세스 거버넌스 변경 126
PART 4 프로세스 거버넌스의 실행
Chapter 10. 조직유형과 프로세스 거버넌스 137
1. 영리조직의 거버넌스 이슈 138
2. 비영리 조직의 거버넌스 141
3. 없어지는 도메인 경계선 144
Chapter 11. 벤처기업과 프로세스 거버넌스 148
1. 사회 진화론과 린 스타트업 148
2. 스타트업의 린 프로세스 150
3. 린 프로세스 거버넌스와 혁신지표 152
Chapter 12. 산업별 프로세스 거버넌스 사례 158
1. 공공기관: 정부 3.0 158
2. 금융업계: BASEL & SOLVENCY 159
3. 제조업계: 환경협약 164
PART 5 프로세스 거버넌스의 관리 도구
Chapter 13. 프로세스 거버넌스 측정 도구 173
1. 전략연계 측정도구 174
2. 권한강화 측정도구 175
3. 직능향상 측정도구 177
4. 자율조직 측정도구 178
Chapter 14. 프로세스 거버넌스 성숙도 및 성과지표 181
1. 성숙도 모델의 사례 181
2. 프로세스 성숙도 모델 186
3. 프로세스 거버넌스 성숙도 모델 189
4. 프로세스 거버넌스 성숙도 모델의 활용 192
Chapter 15. 정보공학과 프로세스 거버넌스 196
1. 데이터 사이언스와 프로세스 사이언스 196
2. 프로세스 마이닝의 개요 198
3. 프로세스 마이닝 시스템의 구축 205
부록 A. 프로세스 거버넌스 체크리스트 223
부록 B. 홀라크라시 거버넌스 230
부록 C. 비즈니스 거버넌스 국제표준 235
부록 D. 프로세스와 프로젝트 관리 239
부록 E. IT 거버넌스 국제 표준 245
부록 F. 프로세스 거버넌스 목적 모델링 249
찾아보기(영어) 255
찾아보기(국문) 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