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밑줄 친 칼럼 제목 타이틀을 클릭하면 칼럼 전문을 볼수 있습니다.
2023 FEB. 생산성의 역설
요즈음 미디어를 보면 온 세상이 AI 세계가 된 듯하다. 특히 작년 4분기에 출시된 인공지능 솔루션 ‘chatGPT’ 웹에 들어가면, 컴퓨터가 상황에 맞는 편지도 완벽하게 제시해 주며, 원하는 알고리즘 코드도 자동으로 만들어 준다. 후배 CEO의 말을 들으니 만든 코드 품질이 평균 개발자 이상이라고 한다. 이미 인공지능이 만든 우리말 책이 출판되었고, 주제에 맞는 삽화를 그리거나, 게임 캐릭터도 그려준다. 짧지만 동영상까지 만들어주는 수준이다. 정말 놀라운 진보이다. 일론 머스크가 예언했 듯이 2025년경에 인류를 초월하는 지성이 도래할 것이라는 ‘싱귤레러티’의 세상이 성큼 다가온 듯하다.
어느 시대이건 새로운 기술이 시장에 소개되면, 솔루션 업체는 ROI(투자대비효과)에 대한 높은 생산성의 기대를 갖도록 부축인다. 1970년 80년대의 MIS, 생산관리, 1990년의 CAD/CAM, 공장자동화, 전략정보시스템, 2000년대의 GIS, ERP바람은 물론 최근의 빅데이터, Cloud, IOT, AI에 이르기까지 정보기술의 투자는 언제나 의사결정권자에게 장밋빛 미래를 보장한다.
그러나 경영의 세계에는 '생산성의 역설(Productivity Paradox)’이라는 말이 있다. 정보기술에 대한 기업의 투자가 산업사회 전반의 성장과 관련이 없거나, 오히려 성장을 저해하는 힘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단적으로 말하면 정보기술투자와 생산성은 인과관계가 없다는 말이다.
2022 Dec. 빙산모델과 도룡뇽알
경영학에 사일로 씽킹(silo thinking)이라는 용어가 있다. 말단직원부터 부문장에 이르기까지 타 부서와의 협력이나 고객만족 보다는 자신이 속한 부서(silo)의 이익만 쫓는 사고체계를 말한다. 세포가 분열하듯이 조직이 분화되면 사일로 씽킹은 예외가 없이 발생한다. 이를 직선형 사고(linear thinking)라고도 하는데, 조직의 균형발전을 위하여 극복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말해진다. 심리학의 수평사고(lateral thinking)와 수직사고(vertical thinking)와는 다른 말이다.
그러나 사일로 씽킹이 항상 문제는 아니다. 상명하달 일사 분란해야 하는 경영환경에서는 가장 최적화된 사고방식이며, 구성원의 전문성 증진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싸이로 씽킹은 시간으로나 공간으로나 시야를 넓혀야만 보이는 맥락관점을 간과하기 쉬워서 이슈가 된다.
부서의 이익을 도모한 당장의 행위가 향후 어떤 결과를 낳을지는 시간대를 길게 확장해야 보인다. 또한 한 곳에서 벌어진 사건이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일파만파 어떤 결과를 유발할지는 공간을 확장해야 알게 된다. 그러므로 현재의 활동이 미래의 시간에 어떻게 전개될지, 확장된 환경에서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길고 넓게 예측하여 행동하는 맥락적 역사의식이 필요하다. 이처럼 사일로 씽킹과 대비되는 통 큰 사고체계를 경영학에서는 시스템 사고라 부른다.